조회 수 39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매일 이 커뮤니티를 방문하는 회원 수만 따져도 80만 명이 넘는다. 월 페이지뷰는 평균 6억이 넘는다. SLR클럽은 지난 2000년 설립 이후 디지털, SLR카메라와 사진 분야에서 14년째 독보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다. 국내 전체 사이트 순위를 따져 봐도 SLR클럽은 70위권 수준. 대한민국 TOP100 안에 들만큼 수많은 방문자가 이곳을 찾는다.

SLR클럽에는 하루에도 수많은 콘텐츠가 올라온다. 하루 게시물 수만 해도 많을 때에는 8만 개에 달한다. 사진은 1만 5,000장이나 된다. 초대형 커뮤니티인 만큼 안정성과 보안 등 챙겨야 할 게 많다. 국내 대표 커뮤니티 가운데 하나인 SLR클럽의 또 다른 특징은 사이트 내 시스템 전체가 거대한 공개SW로 이뤄진 곳이라는 점. SLR클럽을 운영 중인 (주)인비전커뮤니티 CTO 오명오 이사는 이 모든 과정은 모두 공개SW로 해결한다고 말한다.

◇ 월 6억뷰 초대형 커뮤니티 ‘심장은 공개SW’=2012년 이후부터는 해외 사용자도 꾸준히 늘어 2012년 전체 방문객 중 4%였던 해외 방문자는 올해 들어선 7∼8%로 거의 2배 가량 높아졌다. 이런 이유에서인지 SLR클럽의 내부 구조는 국내웹과 외국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중계서버 시스템으로 나뉘어져 있다.

시스템 구성은 모두 공개SW. 먼저 공개SW 도메인 서버로는 파워DNS(PowerDNS)를 이용한다. C++로 만든 DNS 서버 시스템으로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이를 거치면 공개SW 웹 서버 소프트웨어인 엔진엑스(Nginx)로 연결된다. 엔진엑스는 가볍지만 높은 성능을 내는 웹서버 공개SW로 웹서버와 리버스 프록시, 메일 프록시 같은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미 검증된 소프트웨어이기도 하다. 넷크래프트가 지난 2011년 조사한 바에 따르면 엔진엑스는 전체 도메인 중 7.5%, 4번째로 가장 많이 쓰이는 웹서버로 꼽히기도 했다.

SLR_club_140912_1.jpg
오명오 CTO는 공개SW의 장점으로 수많은 사용자가 쓰다 보니 오히려 더 안정적이라는 점을 들었다.

이 과정을 거치게 되면 공개SW 로드밸런서인 하프록시(HAProxy)를 이용하게 된다. 하프록시는 공개SW 기반 로드밸런서도 뛰어난 성능을 인정받고 있다. 대규모 트래픽을 소화하는 데에도 유리하다. 국내에 위치한 서버에 접근하는 사용자와 달리 갈수록 늘어나는 해외 사용자를 대상으로는 기본 구조는 같지만 조금 더한 게 있다. 파워DNS에 해외 사용자를 구분하는 동시에 도메인 로드밸런서 역할을 하는 GEO+GSLB를 공개SW를 기반 삼아 자체 개발해 적용했다. 또 북미 서버와 국내 데이터 캐싱 부하 분산을 위해 엔진엑스와 하프록시를 이용한다. 이런 중계서버를 거쳐 국내로 연결하는 애플리케이션을 L7 스위치 대용으로 쓰는 것. 모든 과정을 거치면 하프록시 로드밸런서를 통해 PHP 애플리케이션과 만나게 된다.

데이터베이스는 2000년 처음 SLR클럽을 열 당시만 해도 마이SQL를 썼지만 지난 2010년 마리아DB(MariaDB)로 바꿨다. 마이SQL에서 마리아DB로 바꾼 이유는 몇 가지가 있다. 가장 문제가 됐던 것 가운데 하나는 피드백이나 수정 사항 반영이 너무 늦다는 것. 지난 2005년 버그 관련 이메일을 보냈지만 답변은 황당하게도 4년이 지난 2009년 날라 왔다고 한다. SLR클럽은 이미 몇 년 전 자체적으로 해결해서 쓰는 상황이었다.

기술적 문제도 있었다. 마이SQL은 데이터를 주로 메모리에 올려야 하는 탓에 메모리 요구량이 많을 수밖에 없었다. SLR클럽의 경우 DB 서버에 들어가는 메모리 용량은 700GB. 그런데 마이SQL을 이용해 클러스터링을 구축하려면 대당 메모리가 250GB인 서버 10대는 필요하다.

하지만 마리아DB는 갈레라 클러스터(Galera Cluster)를 지원한다. 오 이사는 “마리아DB의 강세는 서버 자체에 있다”면서 갈레라 클러스터를 이용해 배포를 단순화하고 고가용성이라는 점, 덕분에 대용량 서비스에 훨씬 유리하다고 밝혔다.

SLR클럽은 여기에 샤딩(Sharding) 기능도 함께 진행한다. 마리아DB를 선택하는 이유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기술로 소프트웨어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분산 처리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한정된 자원에서 대형 서비스를 분산 처리해 퍼포먼스를 높이기 위해 마리아DB로의 전환을 진행했다는 얘기다. SLR클럽은 여기에 작은 크기 데이터를 메모리에 올려놔서 빠른 속도를 제공할 수 있는 Memcached도 함께 이용하고 있다.

SLR_Club_system.jpg
SLR클럽 공개SW 서비스 구조도

◇ 커뮤니티 14년 노하우 담은 플랫폼 준비중=SLR클럽 내부 개발팀은 공개SW를 즐겨 이용한다. 오 이사는 SLR클럽의 경우 공개SW를 단순하게 사용하는 것 뿐 아니라 GSLB에서 알 수 있듯 공개SW를 기반으로 해 직접 개발하기도 한다. 공개SW를 쓰면서 피드백도 적극적이다. 수정 사항은 적극적으로 반영해 지금까지 SLR클럽이 공개SW 개선사항으로 올린 것만 해도 100∼200회에 달한다는 설명이다.

오 이사는 공개SW의 장점으로 수많은 사용자가 쓰다 보니 안정적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물론 잘 만든 상용 소프트웨어도 있지만 한 업체가 전문 레벨까지 만들면 좋겠지만 생각처럼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고 어떤 면에선 오히려 불안한 경우도 많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 윈도만 봐도 그렇죠. 2003년 정도까지만 해도 결함 덩어리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으니 말이죠.”

반면 리눅스는 같은 문제가 초기에는 있었더라도 소스 자체가 오픈되어 있다 보니 수많은 사용자가 퍼포먼스 튜닝을 진행해 결국은 해결이 된다. 오 이사는 이렇게 소스가 공개되어 있는 경우가 오히려 더 외부 보안 공격 같은 것에도 더 안전한 경우가 많다고 설명한다. 예를 들어 윈도나 익스플로러 같은 경우에는 소스가 오픈되어 있지 않아 보안 문제가 발생하는 걸 해커가 공개하거나 마이크로소프트가 알려주지 않는 한 알 방법이 없다. 이에 비해 공개SW는 이런 문제점이 더 빨리 외부로 알려지고 해결도 된다는 것이다.

오 이사는 이런 점을 강조하듯 공개SW로 모두 이뤄진 SLR클럽이지만 “지금까지 14년 동안 한 번도 (외부 해커 등에 의해) 털린 적이 없다”고 말한다. 디도스 공세가 심하던 시절에는 좀비PC를 통한 공격이 문제였는데 당시에는 화이트리스트 시스템을 자체 구축해 이전 3주간 방문 IP를 비교 체크하는 등 외부 공격을 방어했다. 그 뿐 아니라 보안 솔루션도 공개SW를 기반 삼아 내부에서 직접 개발했다. 물론 웬만해선 안 뚫리지만 얼마 전에는 중국 해커 2명이 서버에 잠입하기도 했다. 하지만 내부 개발팀은 침입 루트를 확인하기 위해 일부러 내버려둔 것이다. 진원지를 역탐하기 위한 것. 이들은 물론 내부에서 아무 것도 가져가지 못했다.

이유는 DB 보안 솔루션 때문이다. 오 이사는 지난 2006년에는 DB 보안 솔루션을 자체 개발해 SLR클럽에 적용했다고 설명했다. 당초 개인 정보 사업을 고려한 것이었지만 당시만 해도 지금처럼 보안에 대한 인식이 국내에선 없었다고 한다. 오 이사는 이런 DB 보안 솔루션은 아마 국내에선 처음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DB 보안 솔루션은 물리적인 서버 내 자료의 외부 탈취 방지를 위한 것이다. DB 자체를 암호화하는 건 기본. 암호화 표준까지 자체 개량해서 쓰고 있다. 설령 앞서 설명한 것처럼 해커가 침투를 한다고 해도 못 뺀다고 한다. 암호화 방식이 복잡할 뿐 아니라 동일 네트워크 상태여야 하고 물리적인 서버 형태 조건까지 까다로운 조건을 모두 만족하지 않으면 빼낼 수 없도록 설계했기 때문이다. 오 이사는 SLR클럽 내에 암호화된 걸 해커가 빼내도 “아마 푸는 데 100년 넘게 걸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SLR클럽은 연간 공개SW를 활용한 작품을 1∼2개 정도씩은 꾸준히 만들어오고 있다. 올해도 DB 샤딩 관련 분야를 대상으로 해서 1건을 진행 중으로 10∼11월 정도까지는 완성될 예정이라고 한다. 오 이사는 이런 기술력을 바탕으로 내부적으로는 SLR클럽의 최종 버전을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물론 일반 독자가 보기에는 차이가 없겠지만 내부적으론 프로그램을 체계화하고 조직화하는 한편 퍼포먼스를 최적화한 버전이 될 것이라는 것이다. SLR클럽 개발팀은 이 작업에 8개월 가량을 줄곧 매달렸다.

내부에선 ‘인비전 커뮤니티 플랫폼’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2가지 특징을 지녔다. 첫째 대형 커뮤니티를 위한 플랫폼으로 첫째 외부 UI나 UX보다는 관리 프레임워크를 강화한다. 둘째 SLR클럽 같은 대용량 DB를 처리할 수 있는 커뮤니티에 최적화한다. 오 이사는 인비전 커뮤니티 플랫폼이 SLR클럽의 커뮤니티 14년 노하우를 담은 게 될 것이라고 설명한다. 여기에도 공개SW가 바탕이 된 건 물론이다.

※ 공개SW 활용 성공사례는 테크홀릭과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공개SW 역량프라자가 공동으로 발굴한 기사(http://www.oss.kr/oss_repository10/550812)다.

  1. [뉴스] 月 6억뷰 SLR클럽 “커뮤니티 플랫폼 끝판왕 만든다”

    매일 이 커뮤니티를 방문하는 회원 수만 따져도 80만 명이 넘는다. 월 페이지뷰는 평균 6억이 넘는다. SLR클럽은 지난 2000년 설립 이후 디지털, SLR카메라와 사진 분야에서 14년째 독보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다. 국내 전체 사이트 순위를 따져 봐도 SLR클럽은 70위권 수준. 대한민국 TOP100 안에 들만큼 수많은 방문자가 이곳을 찾는다. SLR클럽에는 하루에도 수많은 콘텐츠가 올라온다. 하루 게시물 수만 해도 많을 때에는 8만 개에 달한다. 사진은 1만 5,000장이나 된다. 초대형 커뮤니티인 만큼 안정성과 보안 등 챙겨야 할 게 많다. 국내 대표 커뮤니티 가운데 하나인 SLR클럽의 또 다른 특징은 사이트 내 시스템 전체가 거대한 공개SW로 이뤄진 곳이라는 점. SLR클럽을 운영 중인 (주)인비전커뮤니티 CTO 오명오 이사는 이 모든 과정은 모두 공개SW로 해결한다고 말한다. ◇ 월 6억뷰 초대형 커뮤니티 ‘심장은 공개SW’=2012년 이후부터는 해외 사용자도 꾸준히 늘어 2012년 전체 방문객 중 4%였던 해외 방문자는 올해 들어선 7∼8%로 거의 2배 가량 높아졌다. 이런 ...
    Date2014.09.12 Category국내뉴스 By관리자 Reply0 Views399 file
    Read More
  2. Windows XP 지원 종료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 공지

    http://www.microsoft.com/ko-kr/windows/lifecycle/xp_eos/consumer.aspx#top
    Date2014.04.12 Category핫이슈 By관리자 Reply0 Views1139 file
    Read More
  3. 아이리버, 하이엔드 오디오 브랜드로 거듭나나

    아이리버가 프리미엄 포터블 오디오 브랜드 ‘아스텔앤컨(Astel&Kern)’에 집중해 오디오 전문기업으로 거듭난다. 아이리버는 과거 MP3 플레이어 전문 제조사 레인컴으로 시작해 2000년대 중반까지 큰 인기를 누렸으나 아이팟과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매출이 급락했다. 이후 사명을 아이리버로 바꾸고 PMP, 전자사전, 내비게이션, 블랙박스 등 다양한 제품으로 사업영역을 넓히다가 지난 2012년부터 스튜디오 마스터 음원 수준의 초고음질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포터블 뮤직 플레이어 아스텔앤컨 AK100을 선보이며 화려한 부활의 신호탄을 날렸다. ▲ 아이리버 아스텔앤컨 AK120 플레이어(츨차=아이리버) 이후 아이리버는 전체적인 성능을 끌어올린 고급 모델 AK120과 플레이어 기능을 삭제하고 크기를 줄여 스마트폰에 연결해 고음질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한 포터블 헤드폰 앰프 AK10까지 총 3종류의 아스텔앤컨 제품을 출시했다. 올해에는 지난 CES 2014에서 AK240을 선보이며 고급형 포터블 플레이어 시장에서의 위치를 확고히 할 계획이다. ▲ 네이티브 DSD 128을 지...
    Date2014.01.25 Category국내뉴스 By관리자 Reply0 Views1301 file
    Read More
  4. "윈도 운영체제 3개 있을 필요 없다" MS윈도 책임자 '통합 의지' 밝혀

    마이크로소프트가 스마트폰과 PC운영체제를 하나로 통합시킬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운영체제 담당 임원인 줄리 라슨 그린(Julie Larson-Green) 부사장은 UBS컨퍼런스에서 “우리들에게는 윈도폰OS가 있다. 그리고 윈도RT와 풀버전 윈도가 존재한다. 하지만 우리들에게 운영체제가 3개나 있을 필요가 없다”며 운영체제 통합 의지를 드러냈다. 현재 마이크로소프트는 스마트폰에 ‘윈도폰8’ 운영체제, 태블릿PC에 ‘윈도8 RT’, 노트북과 PC에는 윈도8 운영체제를 공급하고 있다. 하지만 디바이스 핵심부품인 프로세서(CPU) 구조로 볼 때 윈도폰8과 윈도8 RT의 통합은 쉽지만, 구조가 완전히 다른 PC에선 운영체제 통합에 다소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판단된다. 윈도8을 탄생시킨 시놉스키 前윈도 책임자의 후임인 줄리에 부사장이 앞으로 윈도 운영체제를 어떻게 개혁해 나갈지 주목된다. 김형원 기자 akikim@it.co.kr 상품지식 전문뉴스 미디어잇 <!-- ### 화면 출력 부 끝 ####
    Date2013.12.13 Category해외뉴스 By관리자 Reply0 Views1947
    Read More
  5. MS, 윈도우8.2서 시작메뉴 완전히 되돌리나

    MS, 윈도우8.2서 시작메뉴 완전히 되돌리나 [OSEN=정자랑기자] 마이크로소프트(이하 MS)가 윈도우8.2에 시작메뉴룰 완전히 복귀시키는 것을 고민하고 있다. 외신 BGR은 10일(한국시간) "MS가 데크스톱 모드에서 시작메뉴 버튼을 다시 되돌릴 예정이다"라고 윈도우전문 사이트 폴 서로트(Paul Thurrott)를 인용해 보도했다. 이 매체에 의하면, MS가 향후 윈도우8.2 업데이트에서 시작메뉴를 완전히 되돌릴 가능성을 고려하고 있다. 이는 윈도우95부터 사랑받았던 데스크톱 모드의 모습으로 돌아가는 것. 윈도우8.2 버전은 데스크톱 모드를 기본 바탕으로 메트로 앱들이 떠있는 형식으로 변경될 가능성도 제기됐다. 폴 서로트는 "MS의 이번결정이 데스크톱을 많이 사용하는 이들을 완전히 만족시킬 수는 없지만, MS가 사용자의 의견에 귀를 기울인다는 좋은 사인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고 언급했다. luckylucy@osen.co.kr 마이크로소프트 제공.
    Date2013.12.11 Category해외뉴스 By관리자 Reply0 Views1426 file
    Read More
  6. SSD 전문업체 OCZ 파산, 도시바가 인수 노려

    경영난을 겪어온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103) 전문업체 OCZ가 파산을 선언했다고 로이터가 28일 보도했다. 도시바가 인수를 노린다. 미국 캘리포니아 새너제이에 본사를 둔 OCZ는 저렴한 SSD를 앞세워 중견중소기업을 공략했다. 삼성과 인텔 같은 경쟁사 제품 가격이 낮아진 반면 OCZ 제품 불량률이 높아지면서 고객의 외면을 받았다. 올해 주가는 69%나 떨어졌다. OCZ 측은 도시바와 실질적인 매각 협상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OCZ 시가 총액은 4300만달러(약 460억원)다. 매각 서류 작업을 마무리한 후 파산 신청서를 제출한다는 방침이다. 도시바는 올 초 새로운 낸드 플래시 메모리 설비에 2억~3억달러(약 2100억원~3200억원)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OCZ는 도시바 외에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제조사 시게이트와 웨스턴 디지털, 플래시 메모리 업체 마이크론테크놀로지와도 인수 협상을 벌였다. 서버와 컴퓨터에 주로 쓰이는 SSD103는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다. 하드 디스크에 비해 속도가 빠르고 벌열과 소음이 적다. 삼성과 인텔이 세계 시장에...
    Date2013.11.29 Category해외뉴스 By관리자 Reply0 Views1388 file
    Read More
  7. 한글과컴퓨터, 한컴오피스 2014 출시 앞두고 '한컴 서포터즈' 캠페인 실시

    ㈜한글과컴퓨터(http://www.hancom.com/,대표 이홍구/이하 한컴)는 신제품 오피스인 ‘한컴오피스 2014’의 출시를 앞두고 10월 한 달간 ‘한컴 서포터즈’ 캠페인을 실시한다고 2일 밝혔다. 한컴은 오피스 소프트웨어인 ‘한컴오피스’를 업그레이드하여 오는 10월 10일, 출시할 계획이다. 이를 기념하여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캠페인 ‘한컴 서포터즈’를 진행하며, 신제품의 모든 기능을 출시 전 미리 체험하고 캠페인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한컴의 ‘한컴 서포터즈’는 신제품 ‘한컴오피스 2014’를 10월 한 달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혜택이 있다. 한컴은 ‘한컴 서포터즈’가 한 달간 ‘한컴오피스 2014’를 다운로드 받는 수에 비례하여 한글 교육 사업에 대한 적립기금을 마련, 캠페인 종료 시 다문화가정을 대상으로 제품 기부 및 한글 교육 사회공헌 활동을 진행한다. 또한 ‘한컴 서포터즈’의 참여 수에 비례하여 가격할인 등의 부가 혜택도 마련하였으며, 신제품인 ‘한컴오피스 2014’의 사용후기나 점자 변환 기능을 체험해 볼 수 있는 이벤트 등 다...
    Date2013.10.11 Category국내뉴스 By관리자 Reply0 Views11283
    Read More
  8. 윈도우 7 , 윈도우 XP보다 오래 시장을 유지하지 못할 듯

    마이크로소프트 (MS, Microsoft)가 개발한 윈도우 XP (Windows XP) 운영체제는 2014년 4월 8일 지원이 중단될 것으로 알려졌으나 약 13년 동안 시장을 유지해왔으며 최근에서도 많은 사용자 이용하고 있는 운영체제다. 이후 등장한 운영체제 중에서는 윈도우 7 (Windows 7)이 윈도우 XP를 넘어서는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고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우 7 이후 모바일 기기와의 연계를 보다 강화한 윈도우 8 (Windows 8) 운영체제를 출시했다. 그리고 윈도우 8 후속 운영체제인 윈도우 8.1 (Windows 8.1)의 출시를 앞두고 있으나 윈도우 7과 비교해 윈도우 8은 시작 버튼을 제거하는 등 디자인면에서 많은 변화가 이루어졌으나 사용자에게 선택되지 못했고 이를 개선한 윈도우 8.1이 이를 만회할지는 더 지켜봐야 한다. 최근 윈도우 7 운영체제의 시장 유지 시기에 대해 언급한 Windows IP Pro 보고서는 윈도우 7 운영체제가 서비스팩 1 (SP1)을 공개하며 윈도우 XP 이후 좋은 평가를 받고 있으나 윈도우 XP 만큼 오래 시장을 유지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전했다. 최근 ...
    Date2013.10.04 Category국내뉴스 By관리자 Reply0 Views12568
    Read More
  9. 윈도XP, 남은 7개월 '예고된 보안 위협'

    보안 위협 날로 증가하나 윈도 XP 사용률 감소 더뎌…한국MS는 '속앓이' 상대적으로 국내 사용률은 여전히 높아 이에 따른 보안 위협이 예고되고 있다. 지원 중단을 선언한 한국마이크로소프트는 운영체제 업그레이드를 권고하고 있지만 비용이 드는 민감한 문제라 선뜻 나서지 못하고 고심하는 모양새다. 지원 중단은 더 이상 윈도 업데이트에서 소프트웨어(SW) 업데이트를 받지 않는다는 의미로 유해한 바이러스와 스파이웨어, 개인 정보를 도용할 수 있는 악성 SW로부터 PC를 보호하는 보안 업데이트도 지원되지 않는다. 27일 한국마이크로소프트에 따르면 국내의 윈도XP 점유율은 조금씩 감소하고는 있으나 여전히 다른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특히 인터넷익스플로러(IE) 6, 7에 대한 제로데이 취약점도 계속해서 발견되고 있어 보안 위협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한국마이크로소프트 관계자는 "작년 10월부터 윈도 XP 사용률이 많이 내려가고 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며 "특히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이나 일반 사용자가 많은 것으로 본다"고 말했...
    Date2013.09.30 Category국내뉴스 By관리자 Reply0 Views1234
    Read More
  10. 야심작 혹평·경쟁사 견제…기로의 마이크로소프트

    (AP=연합뉴스DB) (서울=연합뉴스) 오예진 기자 = 야심차게 출시한 신제품은 '실패'라는 혹평에 시달리고, 새로 진출하려는 모바일 시장은 경쟁사의 견제가 거세다. 세계적 소프트웨어 기업 마이크로소프트(MS)가 처한 요즘 현실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영원할 것 같았던 '소프트웨어 왕국' MS가 위기국면을 맞아 최근 추진하고 있는 타개책에 전세계 IT업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 윈도8 혹평속 후속작 윈도8.1 전망도 미지수 MS는 지난해 10월 개인용 컴퓨터(PC)와 모바일 운영체제(OS)를 통합하며 대대적으로 개편한 윈도8을 시장에 내놓았다. 모바일 사업 분야에서 애플, 구글 같은 경쟁사업자에게 선두를 빼앗겨 고전하던 끝에 야심 차게 내놓은 신제품이다. 윈도8은 그러나 복잡한 작동법 때문에 출시 초기부터 이용자의 불만이 끊이지 않았다. 특히 1995년부터 적용해온 하단 제목표시줄의 '시작' 단추가 없어진 것을 두고 소비자들로부터 많은 항의와 비판을 받아야 했다. 결국 MS는 지난 5월 윈도8 출시 7개월 만에 시작 단추를 되살리고 윈도8 갱신판(...
    Date2013.09.24 Category해외뉴스 By관리자 Reply0 Views1390
    Read More
  11. MS 인터넷 익스플로러, 웹표준 지원 본격화

    [김관용기자] "인터넷 익스플로러(IE)의 변화는 마이크로소프트(MS)의 웹표준 지원에 대한 강한 의지를 의미한다" MS가 새로운 윈도 운영체제(OS) 출시에 발맞춰 선보이는 IE 11 버전에서는 차세대 웹표준인 HTML5 지원이 강화된다. 한국MS는 3일 기자간담회를 서울 대치동 사옥에서 개최하고 새로운 IE 11 버전을 소개했다. 윈도 8.1 OS와 IE 11 버전은 오는 10월 18일(한국시간 10 월17 일 21시) 공식 출시될 예정이다. MS가 이번 IE 11에서 강조하고 있는 부분은 표준웹 지원 강화 부분이다. 표준웹은 콘텐츠 호환 뿐 아니라 웹브라우저도 통일한 것으로 소프트웨어나 OS 등이 브라우저만으로 구동되는 웹 환경을 의미한다. 차세대 웹표준으로 각광받고 있는 HTML5는 텍스트와 하이퍼 링크만 표시하던 기존 HTML에 오디오 및 비디오, 그래픽 등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까지 웹 자체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액티브엑스(Active X) 등과 같은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가 필요 없고 OS나 플랫폼, 기기에 상관 없이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MS는 ...
    Date2013.09.07 Category해외뉴스 By관리자 Reply0 Views1373
    Read More
  12. 모바일 OS시장 노리는 MS, 8조 들여 휴대전화 사업 인수

    세계 최대 소프트웨어 업체인 마이크로소프트(MS)가 노키아(핀란드)의 휴대전화 사업 부문을 72억 달러(약 7조 8926억원)에 인수하기로 했다. 스마트폰 하드웨어 경쟁력을 끌어올려 구글과 애플이 양분하는 세계 모바일 운영체제(OS) 시장을 바꿔 보려는 ‘승부수’다. MS는 2014년 1분기까지 노키아 인수 작업을 마무리하고 노키아 주주와 규제 당국의 최종 승인을 거칠 예정이라고 2일(현지시간) 밝혔다. 노키아 이사회도 성명을 통해 “이번 거래가 노키아와 주주들에게 최선의 길이라고 믿게 됐다”고 밝혔다. 이번 인수로 노키아 직원 3만 2000여명도 MS로 함께 옮기며, 스티븐 엘롭(50) 노키아 최고경영자(CEO)도 MS에서 기기 및 서비스 부문 부사장직을 맡는다. 이번 인수는 MS 출신인 엘롭이 노키아의 CEO를 맡으면서 어느 정도 예상된 시나리오였다. 엘롭은 2008∼2010년 MS에서 비즈니스 사업부 책임자를 지냈으며 2010년 노키아의 수장이 됐다. 이 때문에 정보기술(IT) 업계에서는 엘롭을 ‘트로이의 목마’로 부르며 MS의 노키아 인수를 기정사실화해 왔다. 피처...
    Date2013.09.04 Category해외뉴스 By관리자 Reply0 Views1369 file
    Read More
  13. No Image

    한국SW산업협회, 2012년 SW기술자 임금실태조사 결과 발표

    한국SW산업협회는 통계법 제27조(통계의 공표)에 따라 ‘2012년 SW기술자 임금실태조사’ 결과를 공표했다. 본 조사는 2012년 SW업체 신고 업체 및 한국SW산업협회 정회원 기업 등 1,600여개 업체를 대상으로 SW기술자임금실태를 조사했다. 조사는 2012년 6월 1일부터 7월 18일까지 이뤄졌으며, 총 1,106개 업체가 응답했다. 조사결과 응답 기업에서 근무하는 SW기술자는 총 4만9,902명으로 조사됐다. 2012년 SW기술자 임금은 전년대비 4.2%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세부적으로 기술 업체의 일 급여는 전년대비 2만1,478원 증가된 39만1,473원, 특급기술자는 8,306원 증가된 34만9,279원, 고급기술자는 3,145원 증가된 25만4,917원, 초급기술자는 9,927원 증가된 17만2,789원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중급기술자는 전년대비 1,233원 감소된 20만7,710원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고급기능사는 전년대비 4,572원 증가된 14만3,185원, 중급기능사는 4,977원 증가된 11만2,265원, 초급기능사는 1만4,014원 증가된 10만7,141원으로, 자료입력원의 경우는 1만4,407원 증가된 9...
    Date2013.08.21 Category업계뉴스 By관리자 Reply0 Views1461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CLOSE